맨위로가기

예천 권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천 권씨는 본래 예천 지방의 토성인 흔(昕)씨였으나, 고려 충목왕의 이름과 동일하여 국명에 의해 권(權)씨로 성을 바꾸었다. 시조는 권섬(權暹)이며, 예천을 본관으로 한다. 조선 시대에는 권맹손, 권문해 등 학문적 업적을 이룬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권응수, 권율과 같은 무신, 권상하, 권진응, 권기옥 등 주요 인물들이 있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했으며, 2015년 대한민국에는 약 4,5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예천 권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예천 권씨
성씨예천 권씨
관향경상북도 예천군
시조흔적신(昕廸臣)
중시조흔섬(昕暹)
집성촌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안동시
주요 인물권맹손
권문해
권영자
년도2015년
인구4,531명
나라한국

2. 유래

예천 권씨(醴泉權氏)는 약 700여 년 전 고려 충목왕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천 권씨의 원래 성은 예천 지방 3대 토성 중 하나인 '흔(昕)'씨였으며, 흔씨 가문은 예천 지방의 호족으로 대대로 호장(戶長)을 세습하였다.

고려 29대 충목왕이 등극하면서 충목왕의 이름(名)이 '흔(昕)'이었기 때문에, '국명(國命)'에 의해 '흔(昕)씨'도 성을 바꿔야 했다. 6세 '흔섬(昕暹)'은 어머니의 성이자 흔씨 1세, 3세의 처가 성이기도 한 '권(權)'을 새로운 성으로 정하고, 본관은 시조의 세거지인 '예천(醴泉)'으로 하여 '권섬(權暹)'이라 하였다.

이후 예천 권씨는 예천에 터를 잡고 세거해 왔다. 5세 '권선(權善)' 대에는 5형제를 두었고, 이들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조정에서는 '오복문(五福門)'이라 칭하며 부러워했다. 그러나 조선 연산군 시절의 '무오사화'로 인해 예천 권씨는 큰 피해를 입었고, 많은 자손들이 안동 권씨로 흡수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8세 '권문해'는 퇴계 '이황'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권문(權門)'의 명성을 떨쳤다. 권문해가 저술한 '대동운부군옥'은 조선시대 간행된 출판물 중 가치 있는 문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예천 권씨는 자손이 귀해 지금도 그 수가 많지 않으며, 특히 '무오사화'를 겪으며 안동 권씨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안동 권씨 대종회 자료에도 동성이본(同姓異本)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2. 1. 흔(昕)씨에서 권(權)씨로

예천 권씨는 본래 예천 지역의 3대 토성 중 하나인 '흔(昕)'씨였다. 흔씨 가문은 대대로 예천 지역의 호족으로 호장 직을 세습했다.

6세손 흔섬(昕暹) 대에 고려 29대 충목왕이 즉위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충목왕의 이름이 '흔(昕)'이었기 때문에, 국명에 따라 흔씨도 성을 바꿔야 했다. 이에 흔섬은 어머니의 성이자 흔씨 1세와 3세의 처가 성이기도 한 '권(權)'을 새로운 성으로 정하고, 본관은 시조의 세거지인 '예천(醴泉)'으로 하여 권섬(權暹)으로 개명하였다.

예천 권씨 세보 <무진보(戊辰譜)>에 따르면, 시조 권섬이 충목왕의 이름인 흔을 피하여 외가 성씨인 권씨로 개성했다고 한다. 그러나 <고려사>에는 신종 원년인 고려 명종 때에 예천의 흔씨에게 권씨 성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추측하건대 명종 때 권씨 성을 내렸으나, 이후 흔씨로 복성하였고 다시 충목왕 때 개성한 것으로 보인다.

시조(1세)2세3세4세5세권씨 시조(1세)
흔적신(昕迪臣)흔득규흔수창흔 경흔승조권섬(權暹)
안동 권씨안동 권씨안동 권씨



'예천권씨세보(醴泉權氏世譜)' 상의 고려시대 흔씨에 대한 기록은 고려 말 약 150년(5대) 뿐이다. 그러나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태조 12년 안수진 성주 흔평(昕平), 태조 13년 마산 성주 흔신(昕辛), 태조 19년 대장군 흔악(昕岳) 등의 기록이 보인다. 또한 태조 24년 예천 명봉사 능운 탑비에 원윤 흔휘(昕暉), 현종 2년 예천 개심사 5층 석탑기에 광군 흔경(昕京) 등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초부터 예천 지방에 흔씨가 상당수 세거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초 기록된 시기보다 약 300여 년 정도 더 거슬러 올라가 1,000여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2. 2. 고려시대의 흔(昕)씨

예천 권씨의 원래 성은 예천 지방 3대 토성(土姓) 중 하나인 '흔(昕)'씨였다. 흔씨 가문은 예천 지방의 호족으로 대대로 호장을 세습하였다.

'예천권씨세보(醴泉權氏世譜)'에 따르면 고려 말 약 150년(5대) 동안 흔씨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태조 12년 안수진 성주 '흔평(昕平)', 태조 13년 마산 성주 '흔신(昕辛)', 태조 19년 대장군 '흔악(昕岳)' 등의 기록이 있다. 또한 태조 24년 예천 명봉사 능운 탑비에 원윤 '흔휘(昕暉)', 현종 2년 예천 개심사(開心寺) 5층 석탑기에 광군 '흔경(昕京)' 등의 기록이 있어, 고려 초부터 예천 지방에 '흔(昕)'씨가 상당수 세거(世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초 기록된 시기보다 약 300여 년 정도 더 거슬러 올라가 1,000여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며, 최초 세거지인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혹은 덕신리에 '흔(昕)' 정승의 묘가 있다는 촌로(村老)들의 구전(口傳)이 사실임을 입증한다.

다만 족보의 간행이 대부분 조선시대에 시작되었으며 '예천권씨세보(醴泉權氏世譜)'의 기록 시점 또한 그러하여, 그 이전의 '흔(昕)'씨에 대한 자세한 내력은 밝히지 못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조선시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조선시대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이전 출력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4. 주요 인물



: 1408년 식년문과, 1427년(세종 9) 문과중시에 각각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 함길도 관찰사, 공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1450년(세종 32) 이조판서를 거쳐 중추원 부사를 지냈다. 시호는 '제평(齊平)'이다.

: 1560년(명종 1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안동 및 대구부사, 공주목사 등을 역임 하였다. 동부승지, 좌부승지 등을 거쳐 한성부윤, 오위도총부 도총관, 이조판서로 추증 되었다. 이황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에 일가를 이룬 학자로 우리나라 고래의 서적을 널리 참고하여 역사, 인문, 지리, 문학·예술 등을 총망라하여 각 운으로 분류, 조선 최초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 20권을 저술했다. 봉산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저서에 '초간집'이 있다. ( 대동운부군옥책판(부)고본 보물 878호 )

5. 과거 급제자

예천 권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이름과거 종류급제 년도비고
권군보고려 문과
권계응문과
권맹손식년문과, 문과중시1408년(식년문과), 1427년(문과중시)
이조판서, 대제학 역임
권문해별시문과1560년(명종 15)
이조판서 추증, 대동운부군옥 저술
권오기문과
권오복문과성종 17년
무오사화로 사망
권오행문과
권칠림문과
권희설문과
권희열문과




6. 항렬자

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
口환(煥)|구환중국어載(載)|재중국어口현(鉉)|구현중국어承(承)|승중국어口식(植)|구식중국어光(光)|광중국어口수(壽)|구수중국어鎭(鎭)|진중국어口구(求)|구구중국어口섭(燮)|구섭중국어


7. 인구

2000년에는 1,512가구에 4,87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4,531명으로 조사되었다.

예천 권씨 인구 변화
연도가구인구
2000년1,512가구4,876명
2015년4,531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